직무개요
수술 전·후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환자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징후(vital sign)를 점검하고 마취를 관장한다.
수행직무
대수술 시 마취전문의로 참여하여 주치의를 보조한다.
환자의 전신상태를 검사하고 환자에게 가장 안전하며
해당 수술에 적합한 마취방법을 결정한다.
수술 전날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검토한 후 마취전 처치를 한다.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마취과전문의사는
수술 이전에 환자와 면담도하는 직업이다.
국부차단 또는 전신마취가 요구되는 환자에게
의료기준에 따라 적절한 수기(手技) 및 약물을 투여하고
전신상태를 관찰한다. 마취의 형태와 정도를 기록하고
마취 전·후 및 도중에 환자의 진정상태를 기록한다.
수술 후 합병증을 평가하고 처치 및 통증관리를 수행한다.
외상, 질병, 수술 후 합병증으로 인한 심폐기능부전환자의 호흡 및
심혈관계장애를 집중적으로 처치한다.
마취통증의학과 진료를 하는 경우 원인불명 또는
원인 제거가 곤란한 통증을 해소시키고 기타 말초자율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치료한다. 특정 병원에 전속되지 않고
다른 의료기관의 의뢰를 받아서 순회하기도 한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침구, 겨울옷 세탁 시 베이킹소다 넣으면 소독 효과 (0) | 2020.02.10 |
---|---|
고어텍스 패딩 세탁법 (0) | 2020.02.09 |
개인회생 신청자격알아보는팁 (0) | 2020.01.24 |
한국금융연수원 비젼 조직도 (0) | 2019.11.22 |
2020년도부터 기술계 고졸(예정)자 학교장 추천대상자 자격기준 변경 (0) | 2019.11.21 |
태양에서 온 빛과 소리, 제로에너지 음악회에 초대합니다 (0) | 2019.09.22 |
지방이 낮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표고버섯 된장전골 (0) | 2019.09.14 |
당뇨병 초기증상3가지 (0) | 2018.12.31 |